신약개발지원센터

목적

국내 신약개발 과정 중 취약한 분야인 후보물질 개발을 위해 세계적 수준의 신약개발 인프라 구축 및 국내 제약 산업 지원

기능

미래 유망 플랫폼 기술개발을 통한 첨단 기반기술 확보

국내 신약개발 가속화를 위한 글로벌 수준의 화합물 탐색 및 선도물질 최적화 지원

인력

총123명명 (5부 15팀)

연구장비

1,976대 (248억원 규모)

주요 보유 장비

주요 지원 사업

  • 공동연구

    신약 초기 유효물질 최적화 및
    후속개발 지원

  • 기술서비스

    신약 최적화를 위한 단기분석 및
    평가 기술 지원

지원 분야

  • 1

    분자설계 지원

    -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반 약물 설계 최적화

    - 인공지능 기반 단백질 구조 예측

  • 2

    단백질 구조분석 지원

    - 생물리 구조 기반 후보물질 최적화

    - 생물리 분석, 구조분석 기반 유효물질 발굴 및 약물 최적화

  • 3

    의약합성 지원

    - 유효물질 발굴, 선도물질 최적화, 후보물질 도출

    - 화합물 라이브러리 활용 유효물질 발굴

  • 4

    유효성 평가 지원

    - 시험관 내 유효성 평가

    - 타깃 단백질 활성 평가 및 세포 기반 효능 평가

  • 5

    약물 동태 평가·지원

    - 시험관 내 약물 대사·상호작용 등 약동학적 특성 평가

    - 생체 내 흡수·분포·대사·배설 평가 및 동태 특성 확인

    - 대사체 동정 및 고분해능 질량분석기기반 구조 확인

  • 6

    안전성 평가 지원

    - 약물의 시험관 내 안전성 평가

    - 심장, 유전, 신경, 대사 독성 평가

대표 성과

주소

우편주소 : (41061) 대구광역시 동구 첨복로 80 신약개발지원센터

관련사이트

  • 홈페이지

  • 유튜브

  • 카카오톡 채널

  • 페이스북

  • 블로그

  • 인스타그램

연락처

대표전화 : 053-790-5114

공동연구 문의 : 053-790-5293, domdomi101@kmedihub.re.kr

기술서비스 문의 : 053-790-5207, kimjeantag@kmedihub.re.kr

오시는길

  • 자동차

    동대구IC(약 15분 소요)
  • 기 차

    KTX, SRT 경부선 동대구역 하차 후
    지하철·택시(약 40분 소요)
  • 지하철

    1호선 안심역 1번 출구에서
    1km 직진(도보 15분 소요)